본문 바로가기
이슈

[투자_카카오페이] 만원부터 투자가능서비스시작,p2p 장점과 위험성

by 노노코 2020. 8. 1.

카카오가 직접운영하는것은 아냐..
금감원, 카카오페이에 '직접 운용 오해' 우려 지적
묻지마 투자' 위험..P2P 대출 위험성도 알필요있다


카카오페이가 카톡을 통해 간편한 투자 서비스를 선보이며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별도의 어플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1만원 이상 투자할 수 있어 투자 문턱을 낮추고,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반면 직접 운용 상품이 아닌 중개 상품인데다 개인간(P2P) 대출상품 투자시 주의사항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묻지마 투자'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5일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P2P업체인 피플펀드가 만든 14개 상품을 중개했다. 수익률은 연 6%~11.5% 수준이며, 부동산 담보와 온라인몰 선정산, 개인채권 구조화 대출 등 세 가지다.






반응은 뜨거웠다. 매일 오전 11시 3~4개의 상품을 선보였는데 출시 첫 날인 20일에는 4시간 20분 만에 3개 상품, 9억7000만원 규모의 투자가 완판됐다. 이틀째인 21일에도 3종의 상품이 2시간30분 만에 모두 팔렸다. 나흘간 모두 33억원의 투자 중개가 이뤄졌다.

하지만 카카오페이가 투자 서비스를 홍보하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카카오페이가 직접 만든 상품으로 오해할 수 있고, 손실 가능성이 적다는 점을 강조한 대목이 문제가 됐다.







카카오페이 투자 상품을 확인할 때 '제휴 투자사'를 알려주는 내용이 하단에 위치해 있어 투자자들이 한눈에 '중개 상품'이라는 것을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카카오페이는 내부 전문 심사인력이 금융 투자 상품의 기준을 직접 수립하고, 상품 설계부터 심층 점검까지 관여해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상품만 사용자에게 제공한다고 홍보했다.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는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상품을 가져오는게 아니라 저희 기준에 따라 상품을 직접 만든다. 부동산도 직접 가서 확인한다"며 "이중, 삼증으로 체크해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가 투자 서비스를 홍보하며 손실 가능성을 일축한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오용택 투자운용수석매니저는 "금융 구조화를 통해서 원리금이 최대한 보존될 수 있도록 수익률에서 가까이 갈 수 있도록 구조화했다. 마이너스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곧장 판교 카카오 본사를 찾아 소비자들이 투자 서비스를 카카오페이의 직접 운용 상품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며 개선을 권고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카오페이가 운영하거나 운영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P2P 대출업체의 상품을 중개하는 것인데 혹시라도 직접 운영하거나 책임져 준다는 식으로 오해하지 않도록 해달라는 뜻을 전달했다"며 "고객이 어떤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한 눈에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원금 손실 가능성도 '투자시 유의사항'으로 깨알같이 되어 있어 카카오톡에서 상품을 선택할 때 하나하나 자세히 안보고 할 가능성이 있다"며 "10%에 가까운 수익이 가능하고 손실이 별로 없다고 한 부분도 오도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경고했다. 금융 상품은 조금이라도 과장된 부분이 있으면 안 된다는 점을 알렸다"고 덧붙였다.





카카카오페이가 제휴한 피플펀드가 지난 19일 금융감독원이 검찰에 수사 의뢰한 업체라는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3월19일부터 9월28일까지 P2P 연계대부업자 178개사를 대상으로 P2P 대출 취급실태를 점검한 결과, 사기·횡령 혐의가 포착된 20개사에 대해 검찰에 수사의뢰하거나 경찰에 수사정보를 제공했다. 피플펀드가 판매 중인 트렌치 상품의 경우 이중담보 위험성이 있다며 검찰에 수사를 의뢰를 통해 법적 판단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피플펀드는 지난 23일 트렌치 상품 구조화 과정을 설명하는 해명자료를 배포하고 중복 담보 이슈가 해소됐다며 금감원에 소명 자료를 제출했다. 카카오페이도 구조화 상품은 없으며, 내부 심사를 통해 이중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우려 떨치기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카카오페이가 카카오톡이라는 대중적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P2P 대출시장의 리스크를 명확히 알리지 않은 채 투자 확대에 적극 나설 경우 투자자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P2P 대출상품의 경우 구조화된 고위험 상품이고, 고수익 상품의 경우 손실 위험을 감당해야 한다. 부동산 담보대출 역시 부동산 경기 하락 상황에서는 투자자 손실이 불가피하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P2P 업체는 신용 위험을 잘 평가하고, 평가한대로 채무 관리를 잘 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시장은 신용 위험 평가와 리스크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지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취약점"이라며 "플랫폼을 통해 투자하더라도 P2P 투자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P2P 관련 규제가 연계된 대부업체에 대한 감사 밖에 못하고, 플랫폼 등 산업 전체에 대한 규제를 못하는 실정"이라며 "투자자 보호와 P2P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감독 틀이 나오기 전까지는 투자자들이나 P2P 업체 모두 '묻지마 투자'를 하기보다는 각자의 책임 하에서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댓글